부동산

[6.27 부동산 규제 정리] 주담대 한도 제한, 실수요자도 영향 받는다

기냥0503 2025. 6. 27. 19:43
728x90
반응형

2025년 6월 27일, 정부는 역대급 강도의 부동산 금융규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서울·수도권의 집값 불안과 갭투자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 조치로, 대출 제한·전입 의무 강화·LTV 축소 등이 핵심입니다.

이 글에서는 오늘 발표된 내용을 정리하고, 실수요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핵심 규제 요약

1. 주담대 최대 한도 6억원으로 제한

  •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총액이 6억 원을 넘을 수 없음
  • 대상: 무주택자 및 1주택자 실수요자 포함
  • 다주택자는 기본적으로 주담대 금지 유지

📌 예시:
7억짜리 집을 살 경우, 6억까지만 주담대 가능 → 나머지 1억은 자금 확보 필요


2. 생애최초 LTV 완화 축소 (80% → 70%)

  • 기존엔 생애최초 구입 시 LTV 최대 80%까지 허용
    → 오늘부터 70%로 낮아짐
  • 고가주택 진입 장벽 증가

3. 6개월 내 전입 의무 부활

  • 구입 후 6개월 내 실거주 의무 재도입
  • 갭투자 목적 구입 차단이 목적
  • 전입하지 않으면 대출 회수 또는 세금 불이익 가능

4. 마이너스통장 포함 총부채 심사 강화

  • 마통(한도대출)·신용대출도 DSR 계산에 포함
  • 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 예정 (7월부터)

📌 미래 금리 인상을 가정하여 상환 가능 여부 평가 → 대출 한도 축소될 가능성↑


✅ 실수요자도 영향받나?

네, 실수요자도 대출 여력이 줄어듭니다.
특히 생애최초 구입자, 신혼부부, 청년층은 LTV 축소로 자금 부족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6억 한도 제한’은 서울·수도권 중소형 아파트도 해당되므로
투기 억제라는 목적 외에 실거주 수요 위축 우려도 존재합니다.


✅ 시장 반응은?

  • 일부 지역은 오늘까지 계약금 걸면 예외 적용 가능하다는 소식에 ‘대출 막차’ 수요 폭증
  • 강남·마포 등 기존 규제지역은 관망세, 인접 지역(예: 김포·파주 등 비규제 지역)은 풍선효과 가능성 제기

✅ 정책 시사점

이번 조치는 정책 신호를 시장에 강하게 주는 효과를 노리고 있습니다.
정부는 “투기 억제 + 실수요 보호”를 강조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실수요자도 일정 부분 타격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앞으로는:

  • 보금자리론 등 정책 금융상품 활용
  • 전세→매매 전략 수정
  • 자금계획 보수적 접근

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마무리

오늘의 대책은 단기적으로 거래량을 줄이고 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목적이 있지만, 그 과정에서 실수요자까지 움츠러들 수 있는 이중성이 있습니다.

향후 시장의 흐름을 예의주시하면서, 내 자금 상황과 대출 전략을 꼼꼼히 검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7월 예정된 스트레스 DSR 3단계까지 함께 준비하신다면 훨씬 유리한 의사결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