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경복궁야간개장
- 스타벅스파트너음료
- 파트너음료
- 샤로수길카페
- 다빈치리졸브사용법
- 스타벅스별모으기
- 강아지
- 배달의민족
- 스타벅스
- 배민
- 포켓몬빵 #포켓몬빵파는곳 #초코롤빵 #돌아온로켓단 #피카츄좀나와줘 #푸린의딸기크림빵 #파이리핫소스빵
- 블라디보스톡여행
- 이수역맛집
- 이마트
- 배당통지서
- 춘천배달음식
- 스타벅스플레이모빌
- 강아지사진
- 다빈치리졸브
- 금리
- 블라디보스톡
- 막심
- 첫집 #이사후기 #인테리어공사 #폴딩도어 #베란다공사 #도배 #입주후기
- 카카오뱅크
- 정기예금
- 파트너조이
- 샤로수길
- 경복궁
- 까르보나라
- 블라디보스톡항공권
Archives
- Today
- Total
30대 직장인
내가 생각하는 금리란 무엇일까? 본문
반응형
내가 생각하는 금리란 돈을 빌려줬을때 돈에대한 사용료
사용료가 저렴지면 사람들이 많이 빌려가고 비싸지면 빌려가지 않는다.
많이 빌려가면 시장에 돈이 많아지고 돈이 많아지면 돈의 가지가 하락한다 물건의 가치는 올라간다. ?
그래서 경제가 안좋을때 금리를 인하한다...... 하지만 버블현상이 일어남 물건의 가치가 올라가니까
금리인하하면 부동산 값이 올라감 (실물자산가치가 올라감 ,금)
금리를 올리는경우 시장에 돈이 없지 그러면 돈의가치가 올라가지 대출의 이자가 올라가 그러면 건물의 버블이 감소됨
경제가 좋을때 금리를 인상함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으면 금리를 인상함
혹은 외화유출을 막기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도 생김 (경제가 안좋아도)
'은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 신규가입자라면 토스행운퀴즈정답 (0) | 2019.07.24 |
---|---|
금융감독원사이트에서 적금,정기예금금리 한번에보자 (1) | 2019.07.18 |
[카카오뱅크 천만위크] 26주 적금이자 2배 종잣돈모으기엔 괜찮은듯 (0) | 2019.07.18 |
[정기예금 이란 ]카카오뱅크 5% 정기예금 이자계산 (0) | 2019.07.18 |
[7월 22일 ~28일 ]카카오뱅크 천만위크 연 5% 정기예금 (0) | 2019.07.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