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전용면적 vs 공급면적, 부동산 평수의 진짜 의미는?
아파트를 알아보다 보면 가장 먼저 접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입니다.
하지만, 둘의 차이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의외로 많지 않습니다.
오늘은 집을 사거나 전세·월세를 구할 때 꼭 알아야 할 이 두 면적의 차이를 쉽게 설명드릴게요.
✅ 전용면적이란?
전용면적은 말 그대로 ‘내가 단독으로 쓸 수 있는 면적’입니다.
아파트 안의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복도 등,
내가 실제로 생활하는 공간의 넓이를 뜻하죠.
예를 들어 전용면적이 59㎡라면, 평으로 환산했을 때 약 17.8평 정도입니다.
여기에 베란다,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공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공급면적이란?
공급면적은 전용면적에 더해,
공동으로 사용하는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등의 ‘공용면적’ 일부까지 포함한 면적입니다.
즉, 내 집과 직접 관계 없는 면적도 일부 포함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보다 숫자가 크게 보일 수 있습니다.
예: 전용면적 59㎡ + 공용면적 25㎡ = 공급면적 84㎡
👉 우리가 흔히 듣는 "84 타입"은 공급면적 기준입니다.
🧮 쉽게 정리해보면
구분의미포함 공간
전용면적 | 내가 실제 사용하는 공간 |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 |
공급면적 | 전용면적 + 공용면적 일부 | 전용면적 + 복도, 계단 등 일부 공유 공간 |
🎯 왜 이렇게 나눌까?
이런 구분은 계약서와 세금, 분양 가격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 청약 제도: 청약 가점, 특별공급 조건은 전용면적 기준
- 분양가: 대부분 공급면적 기준으로 분양공고를 냄
- 세금: 취득세 등은 공급면적 기준으로 계산되기도 함
👉 같은 "84㎡ 아파트"라도 전용면적이 59㎡냐, 75㎡냐에 따라 실제 크기 체감이 완전히 다릅니다.
💡 마무리 팁
- 아파트를 볼 때는 전용면적이 얼마인지 꼭 확인하세요.
- “84㎡면 25평 아닌가요?” → 공급면적 기준이라 실제 사용면적은 17~19평 정도일 수 있습니다.
- 전용률(전용/공급 비율)이 높은 아파트는 공간 활용도가 좋고 체감 면적이 큽니다.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거래허가구역, 대출도 가능한가요? (0) | 2025.06.25 |
---|---|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도 아파트 매수할 수 있나요? (0) | 2025.06.25 |
주택담보대출 LTV부터 서류제출까지 (1) | 2025.06.25 |
부동산공부 : LTV와 DSR 내 집 마련 전 꼭 알아야 할 금융 규제 용어! (0) | 2025.06.24 |
부동산 공부하기 :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3) | 2025.06.24 |